러시아연구소, 한국 슬라브학 30년 기념 국내학술회의 개최
2015년 12월 11일 (금) 러시아연구소는 서울캠퍼스 신본관 109호 윤강로 회의실에서 한국슬라브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국내학술회의를 개최했다.
1985년 학회 출범 이후 30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되고 축적된 슬라브학 관련 연구성과물들을 한국 슬라브학 30년: 성과 성찰도약 이라는 주제로 엮어 진행한 이번 학술회의에서 러시아연구소 소장 김현택 교수를 비롯해 총 9명의 교수들이 논물을 발표했다.
고려대 김진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1세션에서 김현택 교수는 학술회의의 기본 취지를 설명하면서 총론 성격으로 한국의 슬라브학 어디에 서 있는가를 발표했고, 고려대 석영중 교수가 문학, 서울대 정하경 교수가 어학, 중앙대 전혜진 교수가 교육 분야에서 지난 30년 성과물들의 면면과 그 의미에 대해 발표했다.
경희대 박수헌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2세션에서는 한국외대 장세호 교수가 정치, 인천대 성원용 교수가 경제, 성균관대 김상현 교수가 문화, 한국외대 송준서 교수가 역사, 한국외대 홍석우 교수가 동유럽 지역 분야에서 지난 30년간 생산된 국내 연구 성과물들을 평가하고 향후 국내 슬라브학이 나아갈 방향과 좌표를 제시했다.
2015년 12월 11일 (금) 러시아연구소는 서울캠퍼스 신본관 109호 윤강로 회의실에서 한국슬라브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국내학술회의를 개최했다.
1985년 학회 출범 이후 30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되고 축적된 슬라브학 관련 연구성과물들을 한국 슬라브학 30년: 성과 성찰도약 이라는 주제로 엮어 진행한 이번 학술회의에서 러시아연구소 소장 김현택 교수를 비롯해 총 9명의 교수들이 논물을 발표했다.
고려대 김진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1세션에서 김현택 교수는 학술회의의 기본 취지를 설명하면서 총론 성격으로 한국의 슬라브학 어디에 서 있는가를 발표했고, 고려대 석영중 교수가 문학, 서울대 정하경 교수가 어학, 중앙대 전혜진 교수가 교육 분야에서 지난 30년 성과물들의 면면과 그 의미에 대해 발표했다.
경희대 박수헌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제2세션에서는 한국외대 장세호 교수가 정치, 인천대 성원용 교수가 경제, 성균관대 김상현 교수가 문화, 한국외대 송준서 교수가 역사, 한국외대 홍석우 교수가 동유럽 지역 분야에서 지난 30년간 생산된 국내 연구 성과물들을 평가하고 향후 국내 슬라브학이 나아갈 방향과 좌표를 제시했다.

